라인홀드 니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인홀드 니버는 미국의 신학자이자 윤리학자, 정치 평론가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지성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독일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목회 활동을 시작했으며, 디트로이트에서 노동자들의 열악한 현실을 목격하고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니버는 기독교 현실주의를 주창하며, 인간의 죄성과 사회의 부정의를 인정하고, 민주주의를 통해 사회 정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대공황을 겪으며, 파시즘과 공산주의에 맞서기 위해 기독교인도 힘을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평온을 비는 기도'의 저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미국 역사의 아이러니》 등이 있다. 그의 사상은 정치, 신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복지 자본주의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신학자 - 카를 슈미트
카를 슈미트는 20세기 정치사상에 큰 영향을 미친 독일 법학자이자 정치철학자로, 나치 정권에 협력한 과거에도 불구하고 주권, 독재, 전쟁 등에 대한 독창적인 분석을 담은 저서를 통해 현대 정치 이론에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정치신학자 -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희망, 십자가, 삼위일체 등에 관한 저술을 통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 미국 사회당 - 미국 사회민주당
미국 사회민주당은 유진 V. 데브스를 중심으로 1897년에 결성되어 정치 조직을 통해 사회주의를 실현하려 했으나, 식민지 건설 시도에 대한 반발로 분열되었다. - 미국 사회당 - 사회주의노동당
1876년 결성된 사회주의노동당은 독일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혁명적 산업별 노조주의를 주창하며 노동 운동에 참여했으나, 소련과 개량주의적 사회주의 정당들을 비판하며 미국 좌파 내에서 고립되어 기관지 발행 중단 및 전국 사무실을 폐쇄했다. - 실용주의자 - 힐러리 퍼트넘
힐러리 퍼트넘은 미국의 철학자이자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다중실현가능성, 기능주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6년에 사망했다. - 실용주의자 - 조지 산타야나
조지 산타야나는 스페인 태생의 미국 철학자이자 작가로, 하버드 대학교 교수, 실재론과 관념론 통합 시도, 다채로운 저술 활동,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자는 과거를 반복한다"는 경구로 알려져 있다.
라인홀드 니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Karl Paul Reinhold Niebuhr |
출생일 | 1892년 6월 21일 |
출생지 | 미국 미주리주 라이트 |
사망일 | 1971년 6월 1일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스탁브릿지 |
직업 | 신학자 |
종교 | 개신교 |
배우자 | 우르술라 케셀 콤프턴(Ursula Kessel-Compton) |
장르 | 기독교신학 저술 |
활동 기간 | 1915년 ~ 1971년 |
2. 생애
1892년 6월 21일 미국 미주리주 라이트 시(Wright city)에서 독일계 이민자이자 복음주의 개혁교회 신학을 따르는 북미 복음주의 시노드의 목사였던 구스타프 니부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0년 일리노이주의 엘름허스트 대학을 졸업하고,[1]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이든 신학교에서 공부하였다. 1914년 예일 대학교에서 신학사 학위를 받았다.[2] 1915년 개신교 목사 안수를 받았다.[2]
1915년 독일 복음주의 선교 위원회의 파송으로 디트로이트에서 목회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신도는 65명이었으나 1928년 그곳을 떠날 때에는 700명에 이르렀다. 니버는 헨리 포드를 비판하며 노동조합 결성을 돕는 설교를 하거나, 공장 조립 라인이 초래하는 비인간적인 노동 조건과 잘못된 근로 관행에 관한 글을 썼다.
1923년 유럽을 방문하여 지식인들과 신학자들을 만났고, 프랑스 점령하의 독일 상황에 실망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때 취했던 평화주의자 입장이 더욱 확고해졌다.[5] 1928년 뉴욕 유니언 신학교 교수가 되었고 1960년까지 재직했다. 1941년부터 1966년까지 잡지 《기독교와 위기》의 편집자로 일했다.[5]
젊은 시절 자유주의적인 사회복음주의를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마르크스주의와 기독교를 융합하는 시도를 하였지만 여러 가지 정치적인 경험과 기독교적 가치의 깊은 뿌리가 이데올로기 편향적 자세를 버리도록 하였다. 1939년 에든버러대학교의 기포드 강연에 초빙되어 자신의 사상의 정수를 표현하였다.[5]
1930년대에 미국 사회당의 전투적인 분파의 리더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평화주의에서 벗어나 전쟁을 옹호하게 되었고, 기독교 현실주의 운동을 일으켰다.
1931년 영국의 신학자 우르술라 케셀 콤프턴과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과 딸을 각각 한 명씩 두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미국 미주리주 라이트 시(Wright city)에서 독일계 이민자이자 복음주의 개혁교회(Evangelical and Reformed Church)의 신학을 따르는 북미 복음주의 시노드(Evangelical Synod of North America)의 목사(Pastor)였던 구스타프 니부어(Gustav Niebuhr)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동생인 헬무트 리처드 니부어(Helmut Richard Niebuhr)와 함께 아버지의 뒤를 따르기로 했다. 1910년 일리노이주의 엘름허스트 대학(Elmhurst College)[1]을 졸업하고,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St. Louis)에 있는 이든 신학교(Eden Seminary)에서 공부하였다. 1914년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에서 신학사 학위(Bachelor of Divinity Degree, 약칭 B.D.)를 받고 알파 시그마 파이회(Alpha Sigma Phi Fraternity)의 회원이 되었다. 1915년 개신교 목사 안수를 받았다.[2]2. 2. 목회 활동과 노동 운동
1915년 독일 복음주의 선교 위원회는 니버를 디트로이트로 보냈다. 니버는 그곳에서 개신교 목사 안수를 받고 목회 활동을 시작했다. 도착 당시 신도는 65명이었으나 1928년 그곳을 떠날 때에는 700명에 이르렀는데, 이는 당시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새로운 인구가 유입된 덕분이었다. 니버는 산업화가 노동자들에게 끼친 비도덕적인 현실에 괴로워하며 헨리 포드를 비판했다. 설교를 통해 노동조합 결성을 돕거나, 공장 조립 라인이 초래하는 비인간적인 노동 조건과 잘못된 근로 관행에 관한 글을 썼다.1915년에 부활한 KKK(Ku Klux Klan)는 1920년대 중서부와 서부 주요 도시에서 위세를 떨쳤다. 미시간주 KKK 회원 7만 명 중 절반가량이 디트로이트에 살았으며, 1924년 시장 선거에서 KKK 회원이 당선될 뻔한 일도 있었다. 니버는 KKK를 "종교적인 자존심을 가진 사람들이 발전시킨 부정적인 사회현상의 하나"라고 비판했다.[3]
2. 3. 신학적, 사상적 발전
1923년 유럽을 방문하여 지식인들과 신학자들을 만났다. 프랑스의 점령하에 있던 독일의 상황에 실망하였고, 제1차 세계 대전때 취했던 평화주의자의 입장이 더욱 확고해졌다.[5]1928년 뉴욕 유니언 신학교 교수가 되었고 1960년까지 생의 나머지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다. 이곳에서 나치의 국가폭력(유대인 박해)에 대항하여 고백교회를 세운 디트리히 본회퍼를 포함한 많은 세대의 학생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1941년부터 1966년까지 잡지 《기독교와 위기(Christianity and Crisis)》의 편집자로 일했다.[5]
젊은 시절 몸담았던 자유주의적인 사회복음주의를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한동안 마르크스주의와 기독교를 융합하는 시도를 하였지만 여러 가지 정치적인 경험과 기독교적 가치의 깊은 뿌리가 이데올로기 편향적 자세를 버리도록 하였다. 자신의 고유한 정치적 지혜와 개혁주의 신학의 어거스틴 사상을 결합시켰다. 1939년 에딘버러대학교(Edinburgh University)의 기포드 강연(Gifford Lectures)에 초빙되었는데 이때 자신의 사상의 정수를 표현하였다.[5]
그의 정치, 사상적 활동은 세계사의 가장 힘든 시기에 이루어졌다. 두 번의 세계대전과 대공황 등을 몸소 체험했으며 인간의 부정의(injustice)와 그러한 부정의를 점증시키는 시스템을 무너뜨려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 저술하였다. 유럽에서 파시즘의 가공할 위협과 2차 세계대전의 공포를 목도하고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인이라도 힘으로 맞서야 한다고 보았다. 이로부터 얻은 교훈을 확장하여 민중들에게 권력을 가져다줄 수 있는 민주주의를 만들고 타인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없앨 필요성을 역설하였다.[5]
2. 4. 정치 활동과 사회 참여
1930년대에 미국 사회당 (Socialist Party of America)의 전투적인 분파의 리더였다. 미국 공산당이 통일전선 계획을 채택하도록 도왔다.[4] 정치적으로 반대자였던 루이스 왈드만에 따르면 심지어 젊은이들 사이에서 군사적인 훈련을 이끌기도 하였다.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의 자유주의적 사상의 뿌리인 평화주의에 중대한 변화가 생겼다. 자유주의적인 동료들로부터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전쟁을 옹호하게 되었다. 곧 화해의 동지회(Fellowship of Reconiliation)를 이탈하였고 그들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결국 기독교 현실주의(Christian Realism)라고 불리는 운동을 일으켰다. 기독교 현실주의는 동시대 기독교인들의 이상주의보다 훨씬 강경한 정치적 태도를 취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의 적극적인 활동과 반공산주의 그리고 핵무기 개발을 지지하였다.
2. 5. 가족
1931년 영국의 신학자 우르술라 케셀 콤프턴과 결혼하였다. 슬하에 아들과 딸이 각각 한 명 있다.3. 주요 사상
1939년 에든버러 대학교(Edinburgh University)의 기포드 강연(Gifford Lectures)에 초빙되어 자신의 사상의 정수를 표현하였다.[5] 그는 유럽에서 파시즘의 위협과 제2차 세계 대전의 공포에 맞서기 위해 기독교인이라도 힘으로 맞서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민중에게 권력을 가져다줄 민주주의를 만들고 타인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없앨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민주사회주의자였던 그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New Deal)을 한때 비판했지만, 전후에는 민주당의 '활력 넘치는 중도'(Vital Center)[6] 개념을 지지하며 복지 자본주의(Welfare capitalism) 등장에 기여했다.
Reinhold Niebuhr영어는 〈평온을 비는 기도〉(serenity prayer)의 저자로, 금주 협회(Alcoholics Anonymous, AA)에서 약간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니부어는 자신이 이 기도의 저자임을 분명히 밝혔다.[7]
3. 1. 기독교 현실주의
1939년 에든버러 대학교(Edinburgh University)의 기포드 강연(Gifford Lectures)에 초빙되어 자신의 사상의 정수를 표현하였다.[5] 그의 정치, 사상적 활동은 두 번의 세계대전과 대공황 등 세계사의 가장 힘든 시기에 이루어졌다. 그는 인간의 부정의(injustice)와 그러한 부정의를 점증시키는 시스템을 무너뜨려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 저술하였다. 유럽에서 파시즘의 가공할 위협과 제2차 세계 대전의 공포를 목도하고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인이라도 힘으로 맞서야 한다고 보았다. 이로부터 얻은 교훈을 확장하여 민중들에게 권력을 가져다줄 수 있는 민주주의를 만들고 타인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없앨 필요성을 역설하였다.사회적 정의를 소리 높여 외치는 열렬한 민주사회주의자(democratic socialist)였다. 한때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New Deal)이 실현 불가능하다고 비판하였지만 전후에는 실용주의적인 자세를 취하여, 뉴딜 정책과 민주당의 '활력 넘치는 중도'(Vital Center)[6]라는 개념을 지지하였다. 복지 자본주의(Welfare capitalism) 등장에 큰 역할을 했다.
3. 2. 평온을 비는 기도
라인홀드 니버는 〈평온을 비는 기도〉(serenity prayer)의 저자이다. 금주 협회(Alcoholics Anonymous, AA)에서는 이를 약간 바꿔서 사용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전혀 논란의 여지가 없었으나 근래 기도문의 진정한 저자에 대해서 다소간 논쟁이 발생하였다. 니부어는 자신이 그 저자임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7]
4. 저작
연도 | 제목 |
---|---|
1930 | Leaves from the Notebook of a Tamed Cynic |
1932 |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
1935 | 기독교 윤리 해석학 (Interpretation of Christian Ethics) |
1937 | 비극을 넘어서 (Beyond Tragedy) |
1941 | 인간의 본성과 운명 (The Nature and Destiny of Man) |
1944 | 빛의 자녀와 어둠의 자녀 (The Children of Light and the Children of Darkness) |
1949 | Faith and History |
1952 | 미국 역사의 아이러니 (The Irony of American History) |
1953 | Christian Realism and Political Problems |
1955 | The Self and the Dramas of History |
1957 | Love and Justice |
1958 | Pious and Secular America |
1959 | The Structure of Nations and Empires |
1987 | The Essential Reinhold Niebuhr |
1991 | Remembering Reinhold Niebuhr. Letters of Reinhold & Ursula M. Niebuhr |
참조
[1]
문서
니부어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져 있다.
[2]
문서
정식으로 목사가 된
[3]
서적
The Ku Klux Klan in the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4]
문서
평화주의적인 신학자와 목사들의 모임
[5]
서적
인간의 본성과 운명
[6]
문서
미국 역사가 아서 슐레진저(Arthur M. Schlesinger)가 니부어의 영향을 받고 창안하였음
[7]
웹사이트
평온을 비는 기도의 원저자(The Origin of our Serenity Prayer)
http://www.aa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